SDGs & ESG 국제환경연구원
【칼럼–이규철 원장】 - ISSB 지속가능성 기준 관련 방향
◇ 지속가능 기준에 관한 방향 명시
국제회계기준을 설정하는 IFRS재단은 2021년 4월, ‘IFRS 지속가능기준을 설정하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를 설립하기 위한 IFRS재단 정관의 목표를 좁힌 수정안’을 발표하였다. 그 수정안에서 IIFRS 지속가능 기준에 관하여 다음의 방향성을 명시하고 있다.
*주) 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는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이 사용 중인 회계기준법으로 기업의
회계 처리와 재무제표에 대한 국제적 통일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회계기준위원회’가 공표하는 회계기준이다.
【 IIFRS 지속가능 기준에 관한 방향성 】
방향성 항목 | 내 용 |
① 기업가치에 투자자의 초점 | 심의회는 투자자 및 세계 자본시장에서의 다른 참가자 의사결정에 대하여 중요성이 있는 정보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
② 지속가능의 범위, 기후의 우선 | 기후에 관련한 사항에 관해서 보다 좋은 정보에 대한 긴급 필요성 때문에 심의회는 당초 기후에 관련한 보고에 초점을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기타 환경ㆍ사회ㆍ가버넌스(ESG) 사항에 대하여 투자자 정보 요구의 충족을 위한 작업으로 신속하게 이행하게 된다. |
③ 기존 프레임워크를 기초로 하는 것 | 심의회는 금융안전이사회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에 관한 태스크 포스(task force, TCFD)가 충분히 확립된 작업 외에 지속가능성 및 기업가치에 초점을 맞춘 통합보고에 있어서 주도적인 기준 설정 주체의 연합에 의한 작업을 기초로 삼게 된다. |
◇ ISSB의 설립과 VRF 통합
IFRS재단은 2021년 11월에 2022년 6월까지 ‘국제 지속가능 기준위원회’(ISSB) 설립을 발표했다. ISSB는 전술한 IIRC와 SASB를 통합하여 설립된 VRF(Value Reporting Foundation, 가치보고재단) 등을 통합도 발표했다.
◇ 2가지 프로토타입(prototype)
ISSB의 설립 발표와 함께 ISSB의 ‘기술적 실무 워킹그룹’인 TRWG(Technical Readiness Working Group)는 ‘지속가능 관련 재무정보공시의 일반 요구사항 프로토타입(prototype)’을 발표하고, ISSB 지속가능 기준의 방향성이 보다 구체화 되었다. ISSB 지속가능 기준은 일반적 요구사항ㆍ테마별 요구사항ㆍ산업별 요구사항으로 구성된다.
2022년 3월 말, ISSB는 지속가능성 공시를 위한 최초의 기준서인 IFRS S1 일반공시 원칙과 IFRS S2 기후 관련 공시를 공개 초안 형태로 발표했다.
즉 ‘지속가능 관련 재무정보 공시의 일반 요구사항 프로토타입’에 의하면, 2가지 공개 초안 중 일반적 요구사항(IFRS S1 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TCFD와 마찬가지로 ① 가버넌스, ② 전략, ③ 리스크관리, ④ 지표ㆍ목표의 틀에 기초한 지속가능 전반에 관한 공시의 요구사항을 담고 있다.
그리고 기후 관련 공시(IFRS S2 Climate-related Disclosures)는 기업이 노출된 기후 관련 재무정보에 특정한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이규철/법학박사(상법)
∙ SDGs&ESG, AI·챗GPT 코치 및 강사
∙ 100세대학 크리에이터, ISO 45001 심사원
∙ 칼럼니스트 : SDGs·ESG, 100세대학, AI교과서
∙ 저서 : 생성AI와 챗GPT교과서, SDGs·ESG경영전략 실무서,
글로벌 MBA to CEO, 리더의 필승전략, 행복디자인 매뉴얼 등
∙ 일본(와세다대), 중국(복단대·화동정법대)유학
URL 복사
아래의 URL을 전체 선택하여 복사하세요.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