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SDGs & ESG 국제환경연구원

제목

【칼럼–이규철 원장】 - TCFD 기후변동의 리스크와 기회

작성자
이규철
작성일
2025.03.09
첨부파일0
추천수
2
조회수
32
내용

칼럼이규철 원장- TCFD 기후변동의 리스크와 기회

 

TCFD(The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 제언서는 2017년 금융당국의 정부 간 조직인 금융안정위원회’(FSB, Financial Stability Board)에 의해 공표되었다. 기업과 금융기관에 대해 기후변동에 관련하는 정보공시의 틀이다.


FSBTCFD를 발표한 배경에는 기후변동 리스크가 금융위기를 일으키지 않을까 하는 문제의식이 있다. 기후변동은 코로나 위기와 마찬가지로 사회ㆍ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초래한다는 것은 추상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 타이밍과 중대성을 구체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무시되어 기업이 잘못된 의사결정을 할 위험성이 있다. 그 때문에 기업에 대하여 정보공시를 통한 투명성 확보를 요구하는 것이다. TCFD는 임의 공시 틀만 있지만, 기후변동 리스크가 큰 것을 고려한 국내외가 의무화를 향한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다.

 

공시 항목의 중요한 요소

TCFD는 기후변동 관련 공시의 중요한 요소로서 가버넌스, 전략, 리스크관리, 지표ㆍ목표의 4가지를 열거하고, 각 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공시 항목을 들고 있다. 이와 같은 공시를 행하기 위한 전제로서 기업에는 기후변동이 기업에 초래하는 리스크를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전략 책정과 실시, 가버넌스체제의 정비가 필요하게 된다.

 

기후변동과 리스크 및 기회

아래 도표는 TCFD제언서가 예시하는 기후변동이 기업에 초래하는 리스크의 사례이다. 유의할 필요는 기후변동의 물리적 변동뿐만 아니라 탈탄소 사회로 이행을 통해서도 기업에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행 리스크의 내용으로서 정책 및 법 규제리스크, 기술리스크, 시장리스크, 평판(reputation) 리스크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기후변동과 기업의 리스크 사례

대분류

소분류

기후 변동 리스크

저탄소 경제로 이행에 따른 리스크

(Transition Risks)

정책 및 법규제 리스크(Policy and Legal Risk)

온실효과 가스 배출의 프라이싱(pricing) 진행

온실효과 가스 배출의 보고의무 강화

기존 상품ㆍ서비스에 대한 의무화ㆍ규제

소송 리스크

기술 리스크

(Technology Risk)

기존 상품ㆍ서비스의 저배출 옵션에 대한 대체

신기술에 대한 투자의 실패 저배출 기술로 이행의 비용

시장 리스크

(Market Risk)

소비자 행동의 변화

시장(마켓) 신호(시그널)의 불확실성 확대

원재료의 급등

평판 리스크

(Reputation Risk)

소비자의 선호 변화 섹터에 대한 비난

이해관계자 염려 증대, 부정적인 피드백(feedback)

기후변동의 물리적 영향에 관련한 리스크 (Physical Risks)

급성 리스크

(Acute Risk)

사이클론(cyclone)

홍수 등 이상기상의 증가

만성 리스크

(Chronic Risk)

강수 패턴의 변화ㆍ기상 패턴의 극단적 변동성

평균 기온의 상승 해면의 상승

*참고) TCFD 제언서를 기초로 작성함.

 

아래 도표는 TCFD제언서가 예시하는 기후변동이 기업에 가져오는 기회의 사례이다. 자원의 유효활용, 에너지원, 제품ㆍ서비스, 시장 등 다양한 면에서 기업에 기회도 생길 수 있다.

 

                                                                           【기후변동과 기업의 기회 사례

분 류

기회의 내용

자원의 유효

활용

(Resource Efficency)

보다 효율적인 수송수단의 활용 보다 효율적인 생산ㆍ판매 프로세스의 활용

리사이클의 활용 보다 효율적인 건물에 이전 물의 사용ㆍ소비의 삭감

에너지원

(Energy

Resource)

저배출 에너지원의 활용 정책 인센티브의 활용 신기술의 활용

배출권 시장에의 참가 분산형 에너지 생산으로의 전환

제품ㆍ서비스

(Products and Services)

저배출 상품ㆍ서비스의 개발 기후 변동에의 적응과 보험에 의한 리스크 대응

연구개발ㆍ기술혁신을 통한 신상품의 개발 비즈니스 활동의 다양화

소비자 기호의 변화

시장 (Markets)

새로운 시장에의 접근(access) 공적 섹터의 인센티브 활용

보장을 필요로 하는 상품ㆍ장소에 접근(access)

 

시나리오 분석의 활용

TCFD 제언서에서는 기후변동 대책에서 시나리오 분석을 장려하고 있다. 기후변동의 영향은 중장기적으로 나타나지만, 그 시기와 크기는 불확실하다는 것이 그 평가를 곤란하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양한 시나리오를 전제로 기업의 리스크와 기회를 분석하여 기업의 기후변동에 따른 회복력을 높이고, 임기응변적 대응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TCFD제언서에서는 저탄소 경제로 이행을 위한 시나리오로써 상승온도 2달성 시나리오, 상승온도 2미만 달성 시나리오, 국가별 목표달성 시나리오, 현상 유지 시나리오 등 다양한 사태를 상정한 시나리오에 기초한 분석을 장려하고 있다.

 

각국의 의무화로 향한 움직임

유럽 비재무정보 공시지침’(NFRD, Non-Financial Reporting Directive) 내용으로서 기후변동에 관한 공시를 요구하고, 2019년에 기후 관련 정보공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영국에서는 2020년에 재무부가 TCFD제언에 따른 기후변동 공시의 의무화로드맵을 발표하였다. 2021년부터 런던증권거래소 프리미엄 시장의 상장기업에 대해 TCDF제언에 따른 공시를 요구하고 있다.

 

이규철/법학박사(상법)

SDGs&ESG, AI·GPT 코치 및 강사

100세대학 크리에이터, ISO 45001 심사원

칼럼니스트 : SDGs·ESG, 100세대학, AI교과서

저서 : 생성AI와 챗GPT교과서, SDGs·ESG경영전략 실무서,

  글로벌 MBA to CEO, 리더의 필승전략, 행복디자인 매뉴얼 등

일본(와세다대), 중국(복단대·화동정법대)유학  

2
0

URL 복사

아래의 URL을 전체 선택하여 복사하세요.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